전쟁의 진한 여운을 느끼게 해준 영화, 웰컴 투 동막골

반응형

웰컴 투 동막골 포스터

 

한국 역사와 웰컴투 동막골 영화

나는 한국 역사에 매우 관심이 많다. 과거가 있었기 때문에 지금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런 과거를 다룬 영화는 특히나 더 매력이 있다. "웰컴 투 동막골"은 1950년대 6.25 전쟁이 터지고 인천상륙작전이 실행된 이후를 배경으로 한 영화이다. 한국과 연합작전중이었던 미군 대위, 남한군에게 쫓겨서 도망오게 된 북한군 소령, 그리고 전쟁이 무섭고 안좋은 사건으로 인해 탈영한 남한군 소대장과 의무병. 그들은 우연찮게 깊은 산속 동막골이라는 마을에서 만나게 되며 다양한 일들이 벌어진다.

 

 

이 영화의 스토리

입장을 바꿔서 생각해보자. 서로 으르렁거리면서 죽이고 죽이던 사이이다. 그런 사람들이 전쟁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동막골이라는 마을에서 만나고 대치하게 된다. 처음에는 시비를 걸고, 총을 겨누고 경계하지만 동막골이라는 마을에서 생활하며 서로에 대해 마음을 열기 시작한다.

그리고 맷돼지 사냥을 계기로 해서 서로 더 가까워지게 된다.그렇게 평화로울 것만 같았던 어느 날, 우리나라 국군은 이 동막골 마을을 발견하게 되고, 여기에 인민군의 비밀기지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의심을 받게 된다. 그리고 동막골 마을의 이장을 때리면서 숨긴 사실을 털라고 윽박지른다. 이를 보다못한 우리의 의형제들은 동막골 사람들을 지키기 위해 찾아온 국군을 몰살시킨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동막골 마을을 지키기 위해 희생하는 길을 택하며 이 영화는 마무리 된다.

남한군과 북한군의 대립
이 상황에서는 누가 적군이고 누가 아군일까?

 

 

가슴 따뜻해지는 휴먼스토리일까?

마지막까지 다 봤을 때 이 영화는 가슴이 따뜻해지는 휴먼스토리는 아닌 것 같다. 사실 이 영화에 등장하는 군사들은 전쟁의 흉폭함으로 인해서 몸과 마음이 다친 사람들이다. 이 영화에서 등장했던 국군 소대장 (배우 신하균)은 군의 명령으로 인해 다리를 건너고 있던 주민들을 죽인 자책감이 있는 인물이다.

그리고 이 영화 속 북한군 3명도 전쟁에 대한 아픔을 가지고 있다.이런 이들이 동막골이라는 마을에서 만나서 서로 소통하면서 '전쟁'이라는 공통 분모에 대해 공감하는데, 이 장면들만 보면 뭔가 가슴이 따뜻해지는 것 같다. 하지만 '사실 아직도 전쟁중'이라는 진실을 마주하는 장면을 보여줌으로써 이 영화는 포근한 휴먼스토리는 아니라는 것을 다시 상기시켜준다.대신에 전쟁의 상처로 얼룩진 군인들이 스스로를 희생하는 장면들을 보여줌으로써, 전쟁의 참혹함에 대해 다시 상기시켜주고 있다.

 

 

너무나 평화로운 동막골 마을과 멋진 배경음악

2005년도에 처음 이 영화를 보고난 후 배경음악만 따로 찾아서 여러번 들었을 정도로 좋았던 기억이 난다.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했던 음악은 아래 음악이다.

(유튜브)Soundtrackization - Welcome to DongMakGol 이다.

이 음악을 들을 때마다 내가 동막골에 있는 듯한 느낌이 든다. 맨 처음 시작할 때 피아노는 이 영화의 시작을 알려주고, 음악 속 여성이 아아아~ 하는 음색은 앞으로의 스토리가 어떻게 전개될지 간접적으로 미리 들려주는 것 같다. 들을 때마다 아련함, 후회, 아쉬움, 슬픔이 동시에 느껴지는 미묘한 감정을 느꼈다. 그리고 뭔지 모를 희망, 감사함도 느껴지는 음악이었다. 

위의 곡은 4분 정도 되는 곡인데, 개인적으로 저 4분이라는 시간 속에 이 영화의 모든 감정들이 다 담겨있다고 생각한다. 한번 들어보길 추천한다. 묘하게 빠져드는 매력이 있는 음악이다. (참고로 이 음악은 히사이시조가 작곡했다.)

 

이런 이야기가 실제 존재했다면 어땠을까?
이런 이야기가 실제로 존재했다면 어땠을까?

 

가슴 아픈 역사는 사라지지 않는다.

이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는 해피엔딩이 아니라 진한 여운을 남겨주는 장면이 나온다. 동막골 마을을 지키기 위해 모두가 자폭하는 장면 말이다. 나는 이 장면을 보면서 전쟁의 여운을 느낄 수 있었다. 생각해보면 해피엔딩으로 끝났어도 좀 싱거울 것 같기도 하다.

전쟁통에서 만난 인연들. 그리고 전쟁으로 인해 씻을 수 없는 피가 묻은 그들. 그런 그들이 마지막으로 할 수 있는, 현재 할 수 있는 최고의 선택은 바로 망할 전쟁으로부터 동막골 마을을 지키는 것. 누가 생각이나 할 수 있었을까.

남한군과 북한군이 힘을 합쳐서 순수한 마을을 지킨다는 스토리를 말이다. 실제 마지막 장면에서 신하균과 정재영, 류덕환은 폭탄을 맞으면서 웃는다. 그리고 최후를 맞이한다.

 

동막골을 지키고 자살하는 그들
다.. 끝났다.

 

나는 저 웃는 장면이 왜이리 쓸쓸하게 느껴졌을까? 마치 전쟁 속 아픔을 간접적으로 체험하는 느낌이랄까. 영화 감독의 의도는 정확하게 잘 모르겠지만, 결국 전쟁은 아픔을 낳고 잊지 못할 기억을 남기는 것처럼 이 영화를 통해서 그러한 아픔, 희생을 조금이나마 느끼길 바랬던 것은 아닐까 생각해본다.

반응형
loading